맨위로가기

무성 구개수 파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구개수 파찰음은 무성 구개수 파열음과 무성 구개수 마찰음을 연속으로 발음하거나, '컥컥'의 모음을 후설 비원순 중고모음으로 발음하는 소리이다. 혀의 뒷부분과 구개수에 의해 조음되는 구개수음으로, 파찰음의 조음 방법을 따른다. 알레만어, 아디게어, 아바르어, 영어(스코스 방언), 카바르딘어, 페르시아어, 우즈베크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개수음 -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은 혀 뒤쪽과 구개수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무성 마찰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의 진동 없이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며 마찰을 일으켜 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며, 독일어, 웨일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구개수음 -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혀의 후설을 목젖에 대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으로, 유성음이며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파찰음 - 무성 치경 파찰음
    무성 치경 파찰음은 혀 앞부분을 치경릉에 대어 내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t͡s 또는 t͜s로 표기하며 독일어, 러시아어, 한국어, 표준 중국어 등에서 사용된다.
  • 파찰음 - 유성 후치경 파찰음
    유성 후치경 파찰음은 혀끝이나 혀 앞부분을 치경융기 뒤에 대고 내는 유성 파찰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d͡ʒ로 표기되며, 영어의 "judgement", 이탈리아어의 "gemma", 페르시아어의 "ج" 등 다양한 언어에서 여러 가지 문자로 표현된다.
무성 구개수 파찰음
음성 기호
IPA 기호q͡χ
X-SAMPAq_X
발음
설명무성 구개수 파찰음
기타 발음 표기






정보
IPA 번호111+142
IPA 문자열113
HTML 코드865
유니코드967
JIS X 02131-3-81 + 1-6-54
X-SAMPAqX
ASCIIqX

2. 조음 방법

무성 구개수 파열음무성 구개수 마찰음을 연속으로 발음한다. 또는 '컥컥'의 모음을 후설 비원순 중고모음으로 발음해도 이 음가가 된다.


  • 기류의 발생 - 폐 기류 기구에 의해 발생하는 호기.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는 무성음.
  • 조음
  • * 조음 위치 - 뒤 혀와 구개수에 의한 구개수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혀의 중앙을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조음 위치에서 완전한 폐쇄를 만든 후, 호기를 동반하며 폐쇄를 천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을 동반하는 파열음(파찰음).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

3. 언어별 예시

우즈베크어에서는 첫소리 및 모음 뒤의 q에서 변이음으로 나타난다.[1]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알레만어대부분의 고지 알레만어와 최고지 알레만어 방언Gschänkgsw[ˈkʃæɴq͡χ]'선물'다른 방언에서는 연구개 소리가 난다.
아디게어나투카이[q͡χa]'무덤'방언에 따라 다른 곳에서는 에 해당한다.
아바르어хъарахъav/[q͡χʰːaˈraq͡χʰː]'수풀'방출음 와 대조된다.
영어스코스 방언[영어 철자법|clock']][kl̥ɒq͡χ]'시계'의 단어 종결 형태일 수 있다.
카바르딘어кхъэkbd/[q͡χa]'무덤'
페르시아어일부 방언ﻔل|rtl=yesfa[q͡χofl]'자물쇠'단어 시작 시 의 강화 현상이다.
우즈베크어quruquz / [q̟uɾ̪uq̟͡χ̟]'마른'단어 종결 위치와 자음 앞 위치에서 의 변이음이다.
카발도어кхъэ[q͡χa]"무덤"
클링온어Qapla'[q͡χapʰlaʔ]"성공을 기원한다"


3. 1. 구개수음

조음 위치상 뒤 혀와 구개수를 이용하는 구개수음이다.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

  • 혀의 중앙으로 기류가 통과하는 중설음이다.
  • 조음 위치에서 완전한 폐쇄를 만든 후, 호기를 동반하며 폐쇄를 천천히 개방하여 틈새에서 일어나는 마찰을 동반하는 파열음(파찰음)이다.
  • 연구개를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음이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알레만어대부분의 고지 알레만어와 최고지 알레만어 방언Gschänk|Gschänkgsw'선물'다른 방언에서는 연구개 소리가 난다.
아디게어나투카이'무덤'방언에 따라 다른 곳에서는 에 해당한다.
아바르어хъарахъ|хъарахъav/'수풀'방출음 와 대조된다.
영어스코스 방언[1][영어 철자법|clock']]'시계'의 단어 종결 형태일 수 있다.[1]
카바르딘어кхъэ|кхъэkbd/'무덤'
페르시아어일부 방언ﻔل|قفل|rtl=yesfa'자물쇠'단어 시작 시 의 강화 현상이다.


3. 2. 전구개수음

우즈베크어에서 quru'''q'''|우즈베크 문자uz / 는 [q̟uɾ̪uq̟͡χ̟]로 소리나며 '마른'이라는 뜻이다. 단어 끝이나 자음 앞에서 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1]

카발도어에서 кхъэ는 [q͡χa]로 소리나며 '무덤'을 뜻한다.

클링온어에서 Qapla'는 [q͡χapʰlaʔ]로 소리나며 '성공을 기원한다'는 뜻이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우즈베크어quruq|우즈베크 문자uz / [q̟uɾ̪uq̟͡χ̟]'마른'단어 끝이나 자음 앞에서 의 변이음[1]
카발도어кхъэ[q͡χa]무덤
클링온어Qapla'[q͡χapʰlaʔ]성공을 기원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